알파카스테라

반응형

안녕하세요. 

 

엠바고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엠바로라는 단어는 처음 들어보셨을 텐데요. 

 

언론 분야에서 '엠바고'라는 단어를 쓰기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잘 모를 수도 있습니다.

 

생소한 단어이기 때문에 잘 모르셔도 괜찮습니다. 

혹은 뉴스 기사나 실시간 검색어를 통해서나 TV를 보시다가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수도 있습니다. 

 

엠바고의 정확한 의미를 잘 모르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엠바고 뜻은 무슨 뜻일까요.

 

엠바고 뜻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엠바고(embargo) 뜻에 대해서 알아보기

엠바고, Embargo

 : 일정 시간이나 정해진 기간까지 기사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보도를 중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전적인 의미로는 어떠한 특정 시각까지의 금지 규정이라는 뜻입니다.

 

엠바고라는 용어는 스페인어인 Embargar에서 유래된 말이라고 합니다.

정박을 하고 있는 상선의 출항을 금지라는 말이며, 화물 등 적재를 금지할 경우에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처음 보시는 분들이라면 위의 뜻을 읽어봐도 이해를 잘 못하실 수 있는데요. 

 

엠바고를 사용할 수 있는 예시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보도가 될 정보를 기자나 언론사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정보를 일정한 시간이나 시간이 지난 뒤에 공개를 해달라는 요청하는 것 입니다. 

또는 취재를 하는 사람과 합의하에 약속을 정하여 그 날까지 보도를 중지하는 것을 요청하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보도를 중지하거나 늦추는 것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언론에서 '일정 시점까지 보도금지'를 말합니다.

 

엠바고의 뜻을 알게 되었는데요. 여기서 사람들은 궁금증을 가지게 될 것입니다.

 

Why? 왜 엠바고를 하는지에 대해서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입니다.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파장이 커질수 있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엠바고를 하여 막기 위해서 입니다.

또한 엠바고에 대해서 장단점이 있는데요.

 

장점이라고 하면 언론에 대해서 노출로 인한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여줄 수 있습니다.

 

단점이라고 하면 사회적 강자의 힘에 대해서 불확실한 정보를 사람들에게 정보를 전달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엠바고 사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1년 수능이 코로나로 인해 2주 연기가 되었다는 기사를 20년 3월 31일 오후 2시까지 보도중지(엠바고)를 한 적이 있었는데요. 이것을 어기고 당일 오전에 언론에 올라왔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처럼 엠바고 해당 사례가 있었습니다.

 

엠바고라는 단어를 이해하기만 해도 상식을 배워가며, 일반적인 상식으로 알고 넘어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 엠바고 뜻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